희망과 행복을 드리는 재활병원, 드림솔병원입니다.
의료진 소개
열린마음으로 정성을 다하는 드림솔병원입니다.
진료항목
01 체외충격파 체외충격파 치료법(ESWT)은 체외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충격파를 병변에 가해 혈관 재형성을 돕고, 건 및 그 주위 조직과 뼈의 치유과정을 자극하거나 재활성화시키고 통증이 있는 부위에 염증을 분해시켜 그 결과 통증의 감소와 기능의 개선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02 초음파 유도 통증주사치료 통증을 완화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병변 주위에 초음파를 이용해 통증의 원인과 부위를 정확히 분석하고 병번 부위에 주사액을 직접 투입하는 치료로 입원이 필요없고 비교적 빠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플롤로테라피(인대증식주사치료), TP(근막통주사자극치료) 주사요법은 연골손상과 근육파열, 힘줄 손상에 의한 연골 및 세포증식에 도움을 주어 관절염, 힘줄손상치료, 건염, 수술 후 빠른 회복 등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진료항목
01 위 내시경 위 내시경이란 내시경을 입을 통해 식도로 삽입하여 위, 십이지장까지 관찰하며, 이상이 있는 경우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하는 검사 방법이며, 식도염, 식도암, 위염, 위암, 위선종, 위출혈, 위궤양 등의 질환을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02 대장내시경 대장 내시경이란 항문으로 내시경이라는 특수한 카메라를 삽입하여 대장 내부 및 대장과 인접한 소장의 말단 부위까지를 관찰하는 검사법이며, 궤양성 대장염, 대장용종, 대장암 등의 질환을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03 초음파검사 초음파 검사는 초음파를 생성하는 탐촉자를 검사 부위에 밀착시켜 초음파를 보낸 다음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실시간 영상화하는 방식으로 검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검사는 간편하고, 검사 시 환자가 편안하며, 인체에 해가 없기 때문에 영상 검사 중 가장 기초가 되는 검사법입니다. 특히 유방, 갑상선, 근골격과 같이 우리 몸의 표면에 위치한 구조를 쉽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진료항목
뇌혈류 초음파검사 뇌혈류 초음파검사란 뇌혈관의 혈류를 측정하는 검사로서 뇌 안의 각각의 혈관 및 혈관을 지나는 혈전까지도 발견이 가능한 검사이며, 머리 부위, 목 부위, 눈 부위, 목 뒤쪽 부위 등을 초음파 기기로 검사합니다.
검사의 장점 뇌안의 피가 흐르는 것을 초음파로 직접 관찰하기 때문에 실제로 뇌혈관의 혈액흐름에 대한 파악이 가능합니다.
CT의 방사선 조사의 위험이나 MRI처럼 밀폐된 공간에 대한 불안 걱정을 안하셔도 되고, 태아에게도 사용할 정도로 안전한 초음파 검사입니다.
혈압측정처럼 피의 흐름이 정확한 수치로 확인되기 때문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검사할 때 혈관혈액의 흐름의 민감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뇌혈류 초음파 검사에 비하여 최신 M-MODE를 사용하여 직접 혈관을 초음파로 보면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누워있다가 일어나거나, 중요 혈관을 누르거나, 숨을 참는 등 뇌혈류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어 역동적인 상태 파악이 가능합니다.
진료항목
근전도검사 (electromyography) 근전도검사는 침을 근육에 주사하여 근육의 정상 생리 상태나 병적 상태를 진단하는데 사용하는 검사법으로 근육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활동을 기록하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근육병의 진단에 가장 도움이 되는 검사입니다.
그러나 근육섬유들은 근육병뿐만 아니라 근육과 연결되어 잇는 말초신경의 손상에 의해서도 근육에 이차적인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말초신경에 의한 질환을 찾아내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근전도 검사의 종류에는 침 근전도 검사가 있는데, 침 근전도 검사는 작은 침을 근육 내로 삽입하여 근육에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활동 전위 변화를 감지하고, 근육이 수축한 후 발생하는 전기적 활동 등을 분석하여 근육이나 신경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근전도검사를 시행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팔 저린 증상이나 근력 약화가 되면서 목 통증이 있는 경우
다리 저린 증상이나 근력 약화가 있으면서 요통이 동반되는 경우
손 저림 증상
신경근 접합부 질환
당뇨환자에서 팔다리의 저림 증상이 있는 경우
팔, 다리에 힘이 없고 근육이 마르는 현상이 있을 때
이유없이 사지의 근력이 약화되는 경우
안면신경마비
진료항목
신경전도검사 (Nerve Conduction Study : NCS) 말초신경에 전기적 자극을 준 후 자극점의 원위부 또는 근위부에서 그 반응을 살펴보는 검사방법으로서 각종 말초신경질환의 진단에 사용됩니다.
검사방법 전기적 자극을 가하고, 유발된 활동 전위 파형의 진폭, 기간, 잠복기를 분석하여 신경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비정상적인 경우 병변을 국소화하고 특성을 유추하여 임상적 소견과 함께 신경근 질환을 진단하고 그 정도를 평가합니다.
임상목적 다양한 신경에서 신경전도 검사를 시행하나, 일반적으로 상지(上肢)에서는 정중신경과 척골신경, 요골신경을 검사하며, 하지(下肢)에서는 비골신경, 경골신경 그리고 비복신경을 검사합니다.